[국방정보국] DIA "중러, 미국 위성 타격용 레이저 무기 개발"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 위성을 타격할 수 있는 첨단 무기를 개발 중이거나 제한적으로 일부 능력을 갖췄다고 미 국방정보국(DIA)이 밝혔다. 현지시간 11일 DIA는 '우주 안보에 대한 도전'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하며 경계심을 드러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의 우주 기반 시스템 의존을 악용하거나 우주에서 미국 지위에 도전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개발 중이다. 이에 내비게이션, 정보 수집, 북핵 및 중러 군사활동 감시, 미사일 탐지 등에 폭넓게 사용되는 미국 위성들이 중러의 위협에 놓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러시아와 중국이 전자전 시스템, 레이저 무기를 포함한 지향성에너지무기(DEW), 운동성 미사일 등의 위성 타격용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이 2020년까지 저궤도 우주기반 센서에 대응할 수 있는 지상기반 레이저 무기를, 2020년대 중후반까지 비광학위성의 구조물에 위협을 가할 고출력 시스템을 각각 배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더욱 DIA는 이미 중국이 위성 센서에 대항하는 레이저 무기 시스템을 사용할 제한적 능력을 갖춘 것으로 파악했고, 러시아도 지난해 항공우주군에 대위성 임무를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이는 레이저 무기를 배치한 것으로 봤다.
아울러 러시아가 우주기반 미사일 방어 센서를 상대하는 레이저 무기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중국은 이미 저궤도 위성을 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을 개발, 운용 중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DIA는 중국군이 저궤도 위성을 공격하기 위한 지상기반 미사일을 만들고 이를 운용할 부대를 창설해 훈련을 시작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와 관련 러시아도 저궤도 위성 공격용 탄도미사일 외에 지상기반 이동식 미사일을 개발 중인데 몇 년 내에 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DIA는 보고서에서 중국, 러시아 외에 우주에서 미국에 도전할 수 있는 나라로 북한과 이란을 꼽았다. 이들 국가가 우주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군대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대우주 역량을 갖췄다는 평가다.
보고서는 "북한은 GPS와 위성통신 방해를 포함한 비운동성 대우주 역량을 보여줬고, 이론상 적국의 위성을 겨냥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탄도미사일과 우주발사체를 보유하고 있다"고 명시했다.
또한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이 우주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있으며 평안북도 서해위성발사장과 평양 내 우주추적 관련 시설들이 2012-2016년 위성 발사들을 뒷받침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동해안의 옛 우주발사장은 2009년 이후 사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