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열전/동향
[구축함] 마야(DDG-179): 일본 해상자위대 7번째 이지스함
씨네마진
2020. 3. 20. 14:52
반응형
27DDG 마야함은 콘고함 이후 일본 해상자위대의 7번째 이지스 구축함(일본식 함정 구분으로는 호위함)으로 앞선 14DDG 아타고(DDG-177)급에 비해 규모가 다소 커졌다. 마야라는 함명은 사방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효고현 마야산에서 따온 것이다.
배수량은 8천200톤(t)급이며 길이 170m, 최대폭 21m다. 건조에는 1천680억엔(1조6천876억원)이 들었고, 2018년 7월 진수돼 2020년 3월 19일 취역했다.
마야함은 기존 이지스함과 달리 미사일과 항공기의 위치정보를 더 멀리서 높은 정밀도로 파악해 미군 등과 공유할 수 있는 '공동교전능력(CEC)'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잠수함 대처 능력과 연비가 향상 됐으며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신형 미사일 'SM3 블록 2A'를 탑재할 수 있다.
현재까지 일본 해상자위대는 콘고(DDG-173)를 시작으로 기리시마(DDG-174), 묘코(DDG-175), 쵸카이(DDG-176), 아타고(DDG-177), 아시가라(DDG-178) 등의 이지스함을 보유하고 있다.
통상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기준배수량(무게)에 따라 함정을 구분하지만 일본은 이 구분을 사용하지 않고 3천t급 이상 규모가 큰 함정은 '호위함'에 넣는다. 다만 기능적 특징에 따라 영문으로만 구분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