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MAZINE
[국방동향] "차세대전투기 2차사업 2021년 시작..정찰위성 2022년부터 순차적 발사" 본문
군의 차세대 전투기(FX) 2차 사업이 2021년부터 5년간 추진된다. 전체 사업비는 4조원 규모(3조9천905억원)다. 또 군 정찰위성은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발사된다.
7일 방위사업청은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 업무 보고에서 이런 내용의 주요 방위사업 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방사청은 FX 2차 사업에 대해 "현재 국방부 소요 검증을 진행 중으로 검증 결과에 따라 사업추진기본전략을 수립한 후 사업 타당성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FX 2차 사업 기종으로 F-35A를 20대 추가 구매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군당국은 아직까지 정해진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FX 1차 사업 기종인 F-35A는 2021년까지 총 40대가 전력화될 예정으로, 모두 7조 7천7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F-35A는 지난 3월 말 2대가 한국에 처음 도착한 것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모두 8대가 인계됐고 연말까지 5대가 추가 인도된다.
3천t급 잠수함인 장보고-Ⅲ 개발 상황과 관련해서는 "배치-1 선도함 운용시험평가가 올해 10월부터 내년 8월 사이 진행되고, 배치-2의 경우 체계개발 착수회의가 오는 11월 열린다"고 설명했다.
'배치-1'은 국내에서 최초 독자설계 및 건조 중인 잠수함이며 '배치-2'는 '배치-1'보다 작전 운용 능력이 향상된 체계로 납 축전지 대신 리튬전지를 추진체로 탑재하며 10개의 수직발사관을 갖출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청은 "지난 4월 '배치-2' 체계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 이달 중 체계개발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며 "'배치-2' 선도함은 2019-2026년, 후속함 건조는 2021-2028년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군 정찰위성 확보사업인 '425 사업' 추진 현황도 보고됐다. '425 사업'은 2015-2025년까지 1조 2천214억 원을 투자해 전략표적 감시를 위한 군 정찰위성을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방사청은 "현재 체계개발을 위한 시제계약 체결을 완료하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올해 12월과 2021년 각각 합성영상레이더(EO/IR) 위성과 고성능 영상레이더(SAR) 위성에 대한 상세설계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정찰 위성들은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발사된다.
고고도무인정찰기(HUAV) 글로벌호크 도입 일정과 관련해서는 "비행체 인도 및 영상판독처리체계 구축이 내년 5월까지 진행된다"고 밝혔다. 글로벌호크는 모두 4대가 도입되며 조만간 1호기가 한국에 도착한다.
중고도무인정찰기(MUAV)의 경우 체계개발 마지막 단계인 시험평가가 진행 중이며 내년 11월 '양산기본계획'이 심의, 의결될 예정이다. 군단정찰용 무인정찰기는 사업타당성 조사에 대한 재검증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방사청은 2022-2033년까지 경항모급 대형수송함-Ⅱ를 건조하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방사청은 개념설계 및 핵심기술개발을 수행하기 위해 2020년 예산으로 271억원을 책정했으며 여기에는 '스텔스 성능 기술' 항목으로 40억원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무기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사동향] 러시아, 푸틴 참관 훈련서 SLBM 발사 시험 실패 (0) | 2019.10.21 |
---|---|
[국방동향] 해군, 3만t '경항모급' 대형수송함-Ⅱ 개념설계 착수 (0) | 2019.10.16 |
[군사동향] 일본 "자위대 관함식에 한국 초청 안해"..전범국(戰犯國)의 의도적 한국패싱 (0) | 2019.09.25 |
[2019 ADEX] 서울 항공우주방산전시회 내달 15부터 개최..KF-X 모형 첫 공개 (0) | 2019.09.19 |
[국방동향] 한-핀란드, K-9 자주포 등 방산협력 강화..차관회담서 합의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