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MAZINE

[연방수사국] "FBI, 스파이 행위 우려 일부 중국 학자들 입국 통제" 본문

첩보열전

[연방수사국] "FBI, 스파이 행위 우려 일부 중국 학자들 입국 통제"

씨네마진 2019. 4. 16. 01:13
반응형

미 연방수사국(FBI)이 스파이 행위를 우려해 일부 중국인 학자들에 대해 입국을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15일 뉴욕타임스(NYT)는 "FBI가 중국 정보기관과 연계된 것으로 의심되는 중국 학계 인사들의 미국 입국을 막기 위한 방첩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에 따르면 지난해 사회과학 분야 교수나 학회장, 정부 정책 전문가 등 약 30명에 달하는 중국 인사가 미국 비자를 취소당하거나 검토대상에 올랐다.

 

실제로 중국 난징대학 남중국해 연구소의 주펑 교수는 지난해 1월 미국 방문을 마치고 LA 공항에서 비행기 탑승 직전 FBI 요원들에 의해 여권 제시를 요구받았는데, 이때 요원들은 주 교수의 여권에서 미국이 발급해준 비자를 펼친 뒤 검은펜으로 X자 표시를 하고 "중국으로 돌아가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주 교수의 미국 비자가 취소됐다는 것.

 

또 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의 우바이이 소장도 1월 애틀랜타에서 열린 카터센터 행사에 참석할 당시 FBI 조사를 받은 뒤 비자가 취소됐으며,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6개월을 보냈던 사회과학원의 루시앙 연구원도 지난해 비자가 취소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NYT는 "양국이 전략적 경쟁을 강화하고 상대에 대한 스파이 행위나 상업적 절도 등을 의심해 미국이 문을 닫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렇지만 FBI는 이런 중국인 학자들을 겨냥한 비자 제한 조치에 대해서는 확인을 거부했다. 다만 국무부는 "당국은 중국 정보기관이 정보취득을 위해 중국인 학자들을 점점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고 말해, 스파이 행위 의심과 비자 제한에 연관성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미국 내에서는 "그들은 좋은 미중 관계의 강력한 옹호자들"이라며 당국의 입국 통제에 반대하는 입장과 "미중 간 학술 교류가 중국만 혜택을 입는 일방통행이다"며 찬성하는 입장이 엇갈리는 양상이다.

반응형